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javacript #javasript 객체 #객체 #배열
- html #fontawesome #폰트어썸
- label 태그
- doctype
- 시멘틱 태그 #시멘틱 레이아웃
- label
- border
- 인터랙티브 웹 클론 #BBC 코로나19가 바꿀 사무실의 미래 #1분코딩
- border:none;
- html #display #block #inline
- border:0;
- @font-face
- Today
- Total
목록처음 만나는 자바스크립트 (5)
yeji
배열 작성 var todo = ['디자인 샘플작성', '데이터 정리', '스터디신청', '우유사기']; 배열에서 데이터 읽어오기 배열이름 [인덱스 번호] ※ 첫 번째 데이터의 인덱스가 1번이 아닌 0번이다. 또한, 등록돼있는 데이터 수 보다 큰 인덱스 번호를 지정하면 '데이터가 등록돼 있지 않다' 는 의미의 undefiend가 반환됨. 배열의 모든 항목 읽어오기 var todo = ['디자인 샘플작성', '데이터 정리', '스터디신청', '우유사기']; for (var i=0; i 변수 p에는 for.... in 이 반복될 때 마다 객체에 등록돼 있는 프로퍼티의 명칭이 하나씩 대입된다. 참고글 : '처음 만나는 자바스크립트' 책
함수의 기본적인 개념 함수란, () 안의 매개변수를 받아서 지정한 가공(처리)을 한 후 그 결과를 호출한 곳으로 반환하는 것. 1) 매개변수 받기 2) 지정한 처리(가공)을 함 3) 결과를 호출한 곳으로 반환 함수 호출 함수명(필요한 매개변수) 함수 작성 var 함수명 = fuction(필요한 매개변수) { 처리내용 } ex) var total = function(price) { price는 이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} price => 이 매개변수 price는 function의 {~} 안에서만 유효한 변수로 활약함 함수는 호출하기 전에 정의 'var 함수명 = function() {' 으로 시작하는 함수 정의는 해당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작성해야 함 Return return price + price ..
for문 for문은 지정한 횟수만큼만 { ~ } 안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.반복 횟수 지정은 for의 ( ) 안에서 한다. 1.초깃값 2. 반복조건 3.실행 후 처리for ( var i = 1; i 0) { attack = Math.floor(Math.random() * 30); console.log(' 몬스터에게 ' + attack + '의 피해를 입혔다!'); enemy -= attack; count ++;} console.log(count + '회 만에 몬스터를 물리쳤다!'); - = 연산자 enemy = enemy - attack; enemy -= attack; 왼쪽숫자에서 오른쪽 숫자를 빼고 enemy에 대입
Math.random() 함수를 사용하면 랜덤한 소수점을 출력한다. ex) 0.762194036350495 Math.floor() 함수는 내림을 해주는 함수!